오늘의 묵상
말씀 | 살전 4:13~5:11 |
---|---|
설교일 | 25. 9. 5일(금) |
오늘 아침은 13절에서 18절 말씀 중심으로 나누려고 합니다. 13절에서 18절 말씀은 죽음과 부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13절입니다. “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13절을 근거로 하면 데살로니가교회에 장례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이 됩니다. 장례로 인해서 교회와 성도들이 많은 슬픔에 빠져 있었고, 바울은 죽음과 부활에 대한 이야기를 할 필요를 느꼈던 것입니다. 죽음에 대한, 장례에 대한 성도들의 반응이 그리 올바르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고 말했던 것입니다. 죽음은 슬픈 일입니다. 슬퍼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소망 없는 자, 즉 부활에 대한 소망이 없는 자처럼 슬퍼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성도의 죽음은 불신자들의 죽음과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성도의 죽음은 영원한 죽음이 아닙니다. 다시 부활로 만나 영원한 삶을 살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4절입니다. “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예수님을 죽음에서 살리신 하나님은 예수님 안에서 죽은 자들을 다시 살리십니다. 15절입니다. “우리가 주의 말씀으로 너희에게 이것을 말하노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우리 살아 남아 있는 자도 자는 자보다 결코 앞서지 못하리라” 예수 그리스도가 재림하실 때 살아 있는 자도, 죽은 자도 모두 영원히 살게 됩니다. 순서는 이렇습니다. 먼저 죽은 자들이 일어나고, 다음에는 살아 있는 자들도 그들과 함께 끌어 올려져서 공중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되고 영원히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하게 됩니다. 육신을 가지고 있으나 부활한 몸으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성도는 삶도 다르고, 죽음도 다릅니다. 세상과,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자들과 같지 않습니다. 그처럼 죽음에 대한 반응도, 삶에 대한 반응도 달라야 합니다. 부활은 죽음에 대한 위로가 됩니다. 부활로 죽음을 위로하라고 합니다. 부활은 믿는 이들에게 위로가 되기 때문입니다. 부활보다는 죽음을 더 크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첨부 파일 |
---|---|---|---|
1711 | 하나님을 등진 삶의 끝/9월 10일(수) | 남일출 | |
1710 | 좋은 일을 하다가 낙심하지 말라/9월 9일(화) | 남일출 | |
1709 | 누가 뭐라 해도 미혹되지 말라/9월7일(월) | 최영근 | |
1708 | 우리가 견디고 있는 일들 속에서/9월 7일(주일) | 남일출 | |
1707 | 우리는 깨어 오늘을 살고/9월 5일(금) | 남일출 | |
1706 | 하나님의 뜻/9월4일(목) | 손병욱 | |
1705 | 받은 복음, 전한 복음/9월 3일(수) | 남일출 | |
1704 | 복음 일꾼의 모습/9월 2일(화) | 남일출 | |
1703 | 믿음과 사랑과 소망/9월1일(월) | 최영근 | |
1702 | 하나님의 백성이 누릴 복/8월 29일(금) | 최영근 | |
1701 | 죄책감을 버리고 소망으로/8월 28일(목) | 최영근 | |
1700 | 복 얻는 삶, 저주 받는 삶/8월 27일(수) | 손병욱 | |
1699 | 헛되지 않을 수고/8월26일(화) | 손병욱 | |
1698 | 하나님은 우리 편이시다/8월 25일(월) | 남일출 | |
1697 | 순례자의 기쁨과 슬픔/8월 24일(주일) | 남일출 |
댓글